제약산업 동향 3

제약산업 트렌드 2: SBDD의 발전과 활용 사례

신약 개발 패러다임의 변화, SBDD가 중심이 되다최근 10년간 제약 산업은 신약 개발 효율을 높이기 위해 수많은 기술적 혁신을 거듭해왔습니다. 그 중심에는 구조 기반 신약설계(Structure-Based Drug Design, SBDD)라는 과학적 접근법이 자리잡고 있습니다. 단순히 화합물을 무작위로 시험하던 시대를 지나, 지금은 표적 단백질의 입체구조를 분석한 뒤 이를 바탕으로 약물 분자를 설계하는 것이 가능해졌습니다. 특히 인공지능의 결합, 계산화학의 고도화, 단백질 구조 예측 기술의 발전이 맞물리면서 SBDD는 단순한 개념을 넘어 실제 신약 파이프라인에서 활발히 적용되는 전략으로 자리잡고 있습니다. 이 글에서는 SBDD의 정의와 원리, 기술적 진화, 그리고 글로벌 제약사가 실제로 활용한 사례까지 ..

제약산업 트렌드 1: 인실리코 신약개발 기술

신약개발 패러다임, 컴퓨터 속 실험실이 바꾸고 있습니다과거의 신약 개발은 수십 년의 시간이 소요되는 고비용·고위험 산업이었습니다. 그러나 최근 10년 사이, ‘인실리코(In Silico)’ 기술의 부상이 이 판도를 뒤흔들고 있습니다. 이 용어는 컴퓨터 시뮬레이션을 뜻하며, 현실 세계 실험 없이 가상 공간에서 약물 후보를 도출, 분석, 최적화하는 접근법을 의미합니다. 특히 AI, 머신러닝, 빅데이터 분석, 구조 기반 모델링 기술이 발전함에 따라 인실리코 신약개발은 실제 임상 파이프라인에서도 성과를 보이기 시작했습니다. 이 글에서는 인실리코 기반 신약개발 기술이 최근 어떻게 변화하고 있는지, 어떤 기업이 선도하고 있으며, 그 전망은 어떤지에 대해 구체적으로 살펴보겠습니다. 인실리코 신약개발이란 무엇인가?인..

제약산업 트렌드 시리즈를 시작하며

최근 10년, 제약산업 기술과 전략은 어떻게 진화했는가제약산업은 과거 단순한 화합물 중심의 신약개발 모델에서 벗어나, 인공지능, 정밀의학, 자동화 생산, 규제 혁신 등 복합 기술 기반의 고도화된 산업 구조로 진입하고 있습니다. 특히 지난 10년 간은 단일 기술의 발전이 아닌, 신약개발에서 임상, 생산, 허가, 시판 후 관리에 이르기까지 전 과정을 아우르는 변화가 일어났습니다. 이 블로그에서는 이러한 변화를 5가지 주요 축으로 나누어 시리즈로 연재하고자 합니다. 각 글은 제약업계의 실무자, 연구자, 투자자, 또는 산업 전반에 관심 있는 일반 독자분들께 유익한 정보를 제공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습니다.시리즈 구성약물개발 기술의 진화: 신약 설계 기술, AI 스크리닝, RNA 간섭, PROTAC 등생산 공..